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
Rest Parameter, Spread Syntax, Array. from, Array.isArray()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2022. 9. 24. 21:40
const a = [1, 2, 3]; const b = [4, 5, 6]; const c = [...a, ...b]; // [1, 2, 3, 4, 5, 6] const a = 'Hello World'; const b = [...a]; // ['H', 'e', 'l', 'l', 'o', ' ', 'W', 'o', 'r', 'l', 'd'] Spread 라는 직관적 느낌 그대로로. Syntax는 아무래도 기왕의 강학상 개념틀과 상관없이 아무렇게나 붙여 써온 것 같지만, 이미 정해진 용어를 어쩌겠는가. 26번 "제일 작은 수 제거" 문제에서의 활용 arr = [4,3,2,1] // 임의로 넣은 배열이다. console.log(Math.min(arr)) // NaN console.log(Math.min(... ..
-
reduce()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2022. 9. 24. 17:09
리듀서 함수는 네 개의 인자를 가진다. 누산기 (acc) 현재 값 (cur) 현재 인덱스 (idx) - optional 원본 배열 (src) - optional 리듀서 함수의 반환 값은 누산기에 할당되고, 누산기는 순회 중 유지되므로 결국 최종 결과는 하나의 값이 된다. 1) 첫번째 활용법 : 걍 앞의 인수는 누적치이고 그것에 뒤의 인수를 더한다. [0, 1, 2, 3, 4].reduce( (prev, curr) => prev + curr ); // 걍 앞의 누적치에 뒤에 것을 더한다, 정도로 일단 이해하고 있다. 0~9까지의 숫자 중 임의의 숫자들로 구성된 모종의 배열 numbers. 0~9 중 이 numbers에 있는 숫자를 제외한 나머지를 더하라는 문제. function solution(number..
-
삼항연산자와 while 조합은 참 써먹기 좋다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2022. 9. 24. 16:27
function adder(a, b){ var result = (a
-
Math.ceil() Math.floor()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2022. 9. 24. 15:38
Math.ceil(x) 인수보다 크거나 같은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합니다. Math.ceil(5/2) = 3 Math.floor(x) 인수보다 작거나 같은 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합니다. Math.ceil(5/2) = 2 Math.random() 0과 1 사이의 난수를 반환합니다. Math.round(x) 숫자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를 반환합니다. // 문자열 s의 가운데 문자 반환하기, 짝수 개수면 가운데 2개, 홀수 개수면 1개 function solution(s) { const mid = Math.floor(s.length/2); return s.length %2 === 1 ? s[mid] : s[mid-1]+s[mid]; } https://developer.mozilla.org/k..
-
String.substring()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2022. 9. 24. 15:22
substring() 메소드는 string 객체의 시작 인덱스로 부터 종료 인덱스 전 까지 문자열의 부분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substring(1,4) 는 첫번째에서 세번째 문자. var anyString = 'Mozilla'; // Displays 'M' console.log(anyString.substring(0, 1)); console.log(anyString.substring(1, 0)); // Displays 'Mozill' console.log(anyString.substring(0, 6)); // Displays 'lla' console.log(anyString.substring(4)); console.log(anyString.substring(4, 7)); console.log(anySt..
-
string.length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2022. 9. 24. 15:08
length 속성은 UTF-16 코드 유닛을 기준으로 문자열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function solution(s) { var answer = ''; let q = s.length; if (q%2 === 0){ let half = q/2 answer = s[half-1] + s[half] } else { let half = (q-1)/2 answer = s[half] } return answer; } const str = 'Life, the universe and everything. Answer:'; console.log(`${str} ${str.length}`); // expected output: "Life, the universe and everything. Answer: 42" https:/..
-
returnJavaScript/입 속의 검은 잎 2022. 9. 24. 14:30
1. 일반적인 조건문, 이라고 썼지만... 문제에서 주어졌던 answer 변수선언과 return을 전혀 활용하지 못함. 무엇보다 return 값이 2개가 나옴. function solution(num) { var answer = ''; if (num%2 == 0){ return "Even"; }else{ return "Odd"; } return answer; //undefined } 2.그래서 말을 아주 잘 들어보았다. function solution(num) { var answer = ''; if (num%2 === 0){ answer = "Even"; }else{ answer = "Odd"; } return answer; } 3. return에 삼항연산자를 써도 된다!!! // 문제가 개편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