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9기 1주차 미니 프로젝트 (2022_09_23)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며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쓰 쨈'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중퇴, 카투사 만기전역,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수석졸업, 몇 차례의 영화제 초청, 한 독립영화제의 폐막작 선정, NGO 국제부 근무, 서울시 교육청 예술강사, 그리고 긴 장마의 시간. 만 32살, 개발공부 시작.
벌레먹은 깻잎 같은 내 이력서. 그 텍스트파일 하나에 적힐 이 말들이 아주 가벼워지길. 새털 같이 타닥타닥 모닥불에 섞일 수 있기를.
"새끼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검불도 가락잎도 머리카락도 헌겊조각도 막대꼬치도 기와장도 닭의짗도 개터럭도 타는 모닥불 재당도 초시도 門長늙은이도 더부살이 아이도 새사위도 갓사둔도 나그네도 주인도 할아버지도 손자도 붓장사도 땜쟁이도 큰개도 강아지도 모두 모닥불을 쪼인다
모닥불은 어려서 우리 할아버지가 어미아비 없는 서러운 아이로 불상하니도 뭉둥발이가 된 슬픈 역사가 있다 "
트러블 슈팅 (aka 삽질의 기억)
GitHub - MoonJongHyeon1095/hanghae9th_W1_F_4: 항해9기 f반 4조
항해9기 f반 4조. Contribute to MoonJongHyeon1095/hanghae9th_W1_F_4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Starting Assignment : https://purple-nation-d93.notion.site/99-9-F-4-4e3159d0a9204f34a4b2f9df74ed3594
로그인 및 회원가입기능 관련 ( 내가 맡은 기능구현)
1. path variable 경로 혼동 문제
a) api 패키지 > user.py > user_bp = Blueprint("user", name, url_prefix="/user")
- 상기 엔드포인트에서 url_prefix="/user" 지정된 프리픽스 값을 간과함. 클라이언트 코드에서 url 경로 잘못 지정.
b)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지정 이슈
2. Jquery load 메서드로 로그인창 모달 기능구현
a) 잘못된 사례
<li><a onclick="$().load('/modals/signin.html', [activateModal(), complete] )">로그인</a></li>
b) load 메서드의 매개변수 형태 혼동.
- 일단 모양이 예쁘지 않다.
- 매개변수 load 메서드이 매개변수는 1)url, 2)data, 3)콜백함수 (complete로 이름이 지정되어 있음)
- data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를 생략하고 순서를 건너 뛸 요량이면, 지정된 이름(complete) 으로 함수를 호출해야 함.
- 혹은 아래의 형태로 익명 함수 선언을 해주어야 함.
$().load('url', function(){} )
- 따라서 아래와 같은 함수 호출은 곤란하다.
$().load('url', function(){} )
- load 메서드의 콜백 함수가 아니라, 기껏 load로 가져왔더니만 곧바로 다른 함수를 시행하라는 이상한 뜻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c) 해결된 형태
<li><a onclick="$('#section-post').load('/user/sign_in', complete=activateModal )">로그인</a></li>
3. 회원가입시 서버 에러 (Mongo DB 연결 문제)
a) 몽고 DB로 회원가입 데이터를 넘기는 데에 있어 서버 에러 발생
b) certifi 를 임포트한 후 tls 통신을 무시(?) 하는 모종의 코드로 해결
from pymongo import MongoClient
from .env import *
import certifi
ca = certifi.where()
class Pymongo:
client = MongoClient(URL,
tlsCAFile=ca, tls=True, tlsAllowInvalidCertificates=True)
db = client.minibook
4. Flask run 실행시 디버그 mode off 문제
a) 각종 환경변수를 추가하여 해결했으나 왜 해결됐는지 명확하지 않았음.
b) 이후 파이참 실행 구성편집에서 DEBUG 체크를 해주는 것으로 해결.
5. 3과 4로 인한 git 에러
a) 3과 4로 인해 추가된 구문들은 중요한 파일들에 포함되어 있음. 때문에 커밋하거나 푸시하기에도, 그렇다고 gitignore에 넣기도 곤란.
b) 3은 그냥 해당 코드를 팀원들과 공유하는 것으로 해결.
c)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참 기능을 찾아 해결.
In Manus Tuas Pater, Commendo Spiritum Meum